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육아휴직 급여 vs 돌봄수당 뭐가 더 나을까?

by trip7771 2025. 3. 31.

아이를 키우는 부모에게 정부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복지 혜택 중 두 가지는 육아휴직 급여와 아이돌봄수당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받을 수 없는 경우도 있고, 소득 기준이나 조건이 달라 헷갈리기 쉬운데요. 이 글에서는 육아휴직 급여와 돌봄수당의 차이점, 장단점, 선택 기준을 한눈에 비교해 드립니다. 어떤 제도가 내 상황에 더 맞는지 꼭 확인하고, 더 유리한 혜택을 선택해보세요!

1.육아휴직 급여 vs 돌봄수당, 개념부터 다르다

구분 육아휴직 급여 아이돌봄수당 (양육수당)
목적 육아휴직 중 생계 지원 가정보육 시 양육비 지원
대상 고용보험 가입자 (근로자) 미취학 아동 양육 가정
소득 기준 없음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가능
지급 주체 고용노동부 (고용보험) 보건복지부 (지자체/행정복지센터)
조건 근속 6개월 이상, 고용보험 가입 어린이집·유치원 미이용 시 가능
금액 월 최대 150만원 (3개월) / 이후 120만원 월 20만~30만원 (연령에 따라 다름)
지급 방식 계좌이체 (최대 12개월) 계좌이체 (매월)

2.어떤 제도가 유리할까? 조건별 비교 분석

육아휴직 급여가 유리한 경우

  • 직장 다니는 근로자
  • 고용보험 가입 + 근속 6개월 이상
  • 회사가 육아휴직을 허용하는 분위기
  • 배우자도 직장인 → 아빠육아휴직 보너스제 활용

아이돌봄수당이 유리한 경우

  • 전업주부 또는 경력단절 중
  • 가정보육 중이며 어린이집 이용 안 함
  • 소득 수준이 낮은 가정

3.육아휴직 급여와 돌봄수당 중복 가능할까?

결론: 중복 수령 불가

  • 육아휴직 급여 수령 시 돌봄수당 정지
  • 돌봄수당 수령 중 육아휴직 개시 시 자동 중단
  • 육아휴직 종료 후 다시 신청 가능

현실 팁: 시기별로 전략적 활용 가능 (예: 육아휴직 → 종료 후 돌봄수당 전환)

결론: 나에게 더 맞는 제도는?

육아휴직 급여와 돌봄수당은 목적과 지원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내 상황에 맞는 제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규직이거나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라면 육아휴직 급여를 먼저 고려하고, 직장을 쉬고 있거나 전업육아 중이라면 돌봄수당이 현실적인 대안입니다.

중복 수령은 안 되지만, 시기별로 전환은 가능하므로 육아 계획에 따라 두 제도를 전략적으로 활용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지금 내 상황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은 꼭 챙기세요. 신청은 권리입니다. 놓치면 손해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