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시스템에 관한 설계와 개발, 운영에 관련된 업무를 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동을 하고 있으며, 전공에 상관없이도 비전공자 또한 응시가 가능합니다. 연령에 상관없이 많은 사람이 응시를 하면서 난이도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1. 정보처리기사 자격 요건
- 컴퓨터공학, 소프트웨어공학 등 IT 관련 학과를 졸업(예정)했거나, 관련 학과 4년제 이상을 졸업(예정)했을 경우
- 전문대를 졸업한 경우 - 졸업 후 2년 이상의 실무 경력을 가진 경우
- 동종업계의 실무경력 4년 이상인 경우
- 2년제 졸업 후 경력 2년 또는 3년제 졸업 이후 경력 1년인 경우
- 학점은행제를 통한 106학점 이상 이수 경우
2. 시험접수방법
접수기간 내에 인터넷을 이용하여 원서접수 (지역에 상관없이 원하는 시험장 선택가능)
3.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은 절대 평가이므로 합격컷트라인만 넘으면 됩니다. 따라서 과목별 전략이 중요합니다.
①소프트웨어 설계
②소프트웨어 개발
③데이터베이스 구축
④프로그래밍 언어활용
⑤정보시스템 구축관리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이어야 합격할 수 있어요. 따라서 많은 수험생이 정보처리기사 필기 과목 중 난이도가 높은 과목은 상대적으로 덜 공부하고, 난이도가 낮고 암기 위주인 과목은 상대적으로 더 많이 공부하여 합격 전략을 가져가야 합니다.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과목 중 1, 2, 3과목이 암기 위주이기 때문에 보통은 1, 2, 3과목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합니다.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 과목 중 4, 5 과목은 c언어, 파이썬, 자바 등 코드 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비전공자는 유튜브 기출 해설 강의를 함께 찾아보거나 커뮤니티에서 수험생들과 질의 응답을 공부해보면 효과가 좋은 것으로 예상 됩니다.
4.정보처리기사 실기시험
필기시험을 합격하고 2년내에 실기시험에 응시해서 합격해야만 자격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실기시험은 주관식 총20문항/100점 만점(문제당 배점 각5점) 으로 60점(12문항) 이상을 획득하면 합격입니다. 주관식은 단답형(단어로 대답)과 약속형(한 두 문장으로 대답)이 출제됩니다.
정보처리기사는 비전공자들도 합격할 수 있을까요?
정보처리기사 시험 학겨자의 80%는 비전공자이기 때문에 정보처리기사 비전공자도 충분히 합격 가능합니다.
시험이 어렵게 느껴 질 수도 있겠지만, CBT로 출제되고 있는 정보처리기사 시험이기 때문에 기출문제를 반복하여 풀면서 개념을 익혀간다면 시험에서도 익숙한 문제를 풀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보처리 기사의 전망
정보처리기사는 IT업계더라도 꼭 필요한 자격증은 아니지만, 공기업에서는 매우 우대조건으로 취업할 수 있는 자격증 입니다. 많은 기업은 실제로 프로그래밍을 얼마나 잘하고 개발할 수 있는지가 No.1 채용 조건일 것입니다. 하지만 개발 관련 업종에서 개발자와 협업하는 일을 한다면 충분히 가산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